top of page
Fd KEn -steering.jpg

Meet the CSOs

휴먼 아시아 정책연구팀 정현찬 팀장

cso_interview01_img1_r.png

​아시아 지역에만 부재한 단일 인권보호체계

          수립을 위해 연대하고 네트워크 확장의

                                               구심점 역할 할 것 

휴먼 아시아 정책연구팀 정현찬 팀장 

2020년 7월 28일 휴먼아시아 정책연구팀 정현찬 팀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있다.  [휴먼아시아 제공]

휴먼아시아는 2006년에 설립되어 인권 옹호와 인권 기반 개발협력 사업을 하는 단체입니다. 아시아에만 부재한 지역 인권보호체계 수립에 이바지하기 위해 아시아의 인권상황 개선을 위한 인권옹호활동 및 캠페인, 인도지원을 위한 현장 활동, 인권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및 연대 그리고 청년 인권활동가 육성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달에는 한-EU시민사회 네트워크(KEN)의 운영위원회의 멤버이신 정현찬씨를 만나 휴먼 아시아 및 활동가로서의 생각에 대해 들어 보았습니다. 

Q_edited.png
cso_interview01_img2.png
휴먼아시아는 어떤 단체이며 최근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활동 분야는 무엇인가요?

휴먼아시아는 외교부 소속 그리고 유엔 공보국 협력 지위를 부여 받은 시민단체로서 인권 전반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만 부재한 단일 인권보호체계 수립을 위해 아시아 내 인권에 대한 인식제고 및 교육프로그램 등을 추진하고, 특히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는 정례 인권 포럼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을 ‘아시아인권포럼’의 경우, 매해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국제인권포럼으로서 국제기구, 정부, 학계, 시민사회 등이 모여 네트워킹하고 연대하는 장을 마련해왔습니다. 이는 시민사회 주도의 인권포럼으로서는 꽤 규모와 파급력이 큽니다.

특히 이러한 국제 정례인권포럼의 경우, 각자 특화된 역량을 지닌 다양한 행위자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상호 협력하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기대와 압력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해당 행사는 휴먼아시아의 주요 활동 전략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는 기업과 인권(혹은 인권 경영, Business and Human Rights)에 대한 주제를 골자로 하여 아시아인권포럼을 진행해 왔습니다. 국내에서 단시간에 인권 경영 확산이 공기업과 공공기관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이에 발맞춰 휴먼아시아에서는 올해 5월 “아시아 기업과 인권센터(Asia Business and Human Rights Center, ABHRC)를 설립하였습니다. 해당 분야 관련 국/내외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일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휴먼아시아가 보유한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하여 여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협의할 수 있는 상생적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합니다.

기업과 인권은 좀 생소한 주제일 수 있으나, 기업과 사회적 책임과는 달리, 기업과 인권에서는 사회 전반의 인권 증진에 있어 국가와 기업의 역할을 모두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과 인권은 기업활동 과정에서 근로자와 협력업체를 비롯한 주요 이해관계자의 인권을 존중하는 경영방식입니다.

한국에서도 인권경영실적이 공공기관의 중요한 경영평가요소로 포함되어, 인권 경영이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기업과 인권센터는 여전히 해당 분야에 대한 실무적 혼란이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해 인식을 제고하고 자문하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시아내의 인권 기반의 개발협력활동도 점차 확대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2019,-제12회-아시아-인권포럼-1.jpg
제 12회 아시아 인권포럼에 참석한 서창록 교수 (윗줄 왼쪽에서 4번째) / 2019 휴먼아시아 제공
Q_edited.png
cso_interview01_img2.png
시민들의 관심 제고 및 참여를 위한 휴먼아시아의 차별화된 전략은 무엇인가요?

휴먼아시아와 같이 인권 전반을 다루는 시민단체들은 한국에서 그리 흔하지 않습니다.

 

휴먼아시아는 아시아내의 인권보호체계 구축을 위해 연대하고 계속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일에 있어서 구심점이 되고자 합니다. 또한, 인권옹호를 위한 한국의 여러 단체들의 활동 네트워크내에서 공동행동을 하는 것도 우리의 전략입니다.

세계 난민의 날을 기점으로 한국사회의 난민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열리는 난민영화제를 주관하는 일 등이 그 예입니다.

2020-난민영화제_1.jpg
난민 영화제 홈페이지 /
2020 휴먼아시아 제공
2020-난민영화제_2.jpg
난민영화제(KOREFF)와 별도로 진행된 UNHCR 친선대사 정우성과의 실시간 토크쇼 / 2020
휴먼아시아 제공
Q_edited.png
개인적으로 어떤 계기로 시민활동가가 되었으며 시민활동가는
어떤 일이라고 생각하나요?
cso_interview01_img2.png

대학에서 국제학을 전공하면서 내내 국제법, 인권 제도 등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정부를 대상으로 제도의 변화나 어떤 이슈에 대한 압력을 행사할 때 시민단체가 가장 최전선이라고 생각했으며 다른 이해관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고 생각하여 일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여성인권에 각별히 관심이 있어서 한국여성단체연합에서 인턴을 하였는데 ‘성평등이 민주주의를 완성한다’는 슬로건을 영어로 (Feminism perfects democracy) 번역한 것이 채택되어 지금도 활용되는 것을 보고 유연한 결정 체계에 놀라기도 하고 보람도 느꼈습니다. 또, 뉴욕 유엔본부 공보국에서 잠시 인턴 및 컨설턴트로 일한 적이 있는데 비록 주니어였지만 시민사회에서 만든 결과물들이 국제기구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고 시민단체의 힘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시민단체에서 일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지만 기본적으로 개인적인 관심사와 함께 시의성 있는 주제를 모색해야 하므로 계속해서 공부할 수밖에 없는 것이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시민단체가 항상 긍정적 이미지만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워딩 하나에도 각별히 신경 쓰고 감수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점도 성장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Q_edited.png
cso_interview01_img2.png
유럽의 시민단체중 특히 벤치마킹하거나 교류하고
싶은 단체가 있다면?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 중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곳은 Finnwatch입니다.

 

핀워치의 경우 핀란드에서 활동하는 기업과 인권 영역에 특화된 시민단체인데, 영어로는 퍼스트라인 캠페인(#ykkösketjuun campaign)을 민간과 함께 주도적으로 실시하여 선제적으로 핀란드 내에서 인권 실사 의무화 입법(Mandatory Human Rights Due Diligence, mHRDD)을 촉진한 바 있습니다.

 

특히 기업 들의 참여를 잘 이끌어 내고, 노동조합과 국제기구, 시민단체를 함께 묶어낸 구심점 역할을 명민하게 하여, 정부 정책 방향에 큰 영향력을 미친 캠페인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핀란드의 경우 실제로 인권 실사 의무화 법안을 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Finnwatch는 선제적으로 대중을 대상으로 인권 실사 의무화 법안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을 네트워크 기반 캠페인으로 잘 형성한 점이 대단히 인상적입니다.

Teachers'-Empowerment-Program-(Human-Rig
인도 스네하 교사 역량강화워크숍 휴먼아시아 제공

현재 한국의 경우에도 2018년 공공기관 인권 경영 매뉴얼 제작 및 배포 그리고 이행 권고 이후 짧은 시간 이내에 공공기관/공기업 차원에서는 인권 경영이 상당부분 실행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의 경우에도 인권 실사 의무화 법안에 대한 필요성 환기 그리고 이를 성취할 활동 및 목소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좋은 참고가 될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Finnwatch는 현재 한국에는 크게 소개되지 않은 단체이기도 하고, 핀란드와 한국 간의 여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지형 차이는 있겠으나, 그들의 모델과 사례가 한국에서 적용/활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해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 단체에 대해 궁금한 점은 어떻게 민간과 비영리단체가 기업의 책임에 대해 입법화하고 제도화하는데 공조 했는지 입니다. 한-EU시민사회 네트워크(KEN) 프로그램을 통해 나의 궁금증이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bottom of page